코칭

[코칭] 인간의 행동이 일어나는 과정

alignG 2010. 9. 28. 13:49

"격물치지"라는 내용을 찾아 다음 본문 검색을 하다. "명상의 철학적 기초"라는 책을 일게 되었는데 재미있는 내용이 있어서 참고하여 글을 써봅니다. 유교에 관련된 명상철학을 이야기하는 부분을 읽고 글을 써봅니다.
명상의철학적기초 상세보기


행동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일어나게 됩니다.

사물과의 접촉 -> 마음이 발함 -> 언어나 행동의 실행
        (감정의 발생 + 의지의 선택과 결단)

가장 첫번째로 사물과의 접촉이 일어나게 됩니다. 어떤 사물을 본다던지 누군가를 만난 다던지 하는 방식으로 말이지요. 그곳에서 내면에서 어떤 마음이 일어나기 시작합니다. 그 내면에서 일어나는 것이란 감정그리고 어떤 의지의 결단과 선택인 것이지요. 이제 의지와 결단이 섯으므로 언어 또는 행동으로 실행을 하게 됩니다.


여기에서 마음의 발함을 좀더 살펴보죠. 먼저 다음의 표를 둘러 뵛고 설명을 들으시면 좀더 이해가 쉬우실 것 같습니다.

성                        ->     정(성의 발)              ->       의(심의 발)
                                 (감정의 발생)            (감정을 따르려는 의의 결정)
기질지성(욕망)      -> 감정(칠정) /선.악        -> 칠정을 따르기로 결정 /선.악
본연지성(천리)      -> 감정(사단) /선            -> 사단을 따르기로 결정 /선
                             <감정의 차원>                       <사려의 차원>

마음이 발하는 것의 위의 표에서도 나오듯이 성 -> 정 ->의 라는 순서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성은 정이 발하는 발하는 곳 즉 일어나는 곳입니다. 정은 감정을 말하는 것으로서 의가 발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의는 심이 발한 것으로서 어떤 결정을 내리고 선택을 하는 의지를 말합니다.
성은 정과 의의 배경이 되므로 마음의 배경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선은 2가지로 나뉩니다. 기질지성과 본연지성입니다. 본연지성은 참나, 셀프, 이너게임이라는 책의 용어로는 셀프2를 들 수 있겟습니다. 기질지성은 에고, 이너게임의 셀프1이라 할수 있겠습니다. 첫번째는 나의 깊은 내면 본연의 지성을 말하며 2번째는 나 개인의 사사로운 욕심등을 말합니다.
정은 위의 성을 기반으로 해서 나오므로 정도 역시 2가지로 분리 되게 됩니다. 본연지성으로 부터 나오는 측 천리를 따라 일어나는 감정인 사단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는 기질지성으로 부터 나오는 사적 감정인 칠정입니다. 나만을 위한 것이냐 세상을 위한것이냐의 관점으로 볼때 이것을 선악으로 분류할 수도 있습니다.
이 감정은 바로 언행으로 옮겨지는 것이 아니라 의라는 이 2의 감정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우리는 자유의지라 부르지요. 감정과 성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것인지라 우리가 어찌할 수 없지만(물론 EFT나 코어 sk등의 기법으로 일어난 뒤에 처리할 수 있지만)  그것들 사이에서 어떤 것을 선택할 지는 우리에게 맞겨진 것입니다.

마음이 음직이기 시작하는 순간 내적으로 일어나는 작은 변화를 유교에서는 기미라 합니다. 이 기미를 잘관찰하여 성과 정을 인식할수 있는 틈이 생긴다면 감정에 이끌려서 살아온 삶에 새로운 공간이 생기겟지요. 이런 공간을 보기 위한 탐스톤 코치님의 순수의식 기술중 하나가  갭이지요.  그리고 웨이트라기술을 통해서 잠시 의로 넘어가기 전에 멈추는 방법도 있지요. 자신의 마음을 섬세하게 들여다 볼수록 삶에서 새로운 가능성이 탄생하게 된답니다.

정리를 한다고 적어보았는데 아직 깊게 읽어보지 않아서 맥락이 부족한듯 싶네요. 좀더 사색해보고 기회가 되면 다시 정리해서 적어봐야 겟습니다. 제가 읽은 부분이라봐야 본문검색을 해서 부분정도를 읽은 것이니까요. 서점을 달려가서 전체적으로 읽어봐야 겟습니다. 도교 유교 인도등 다양한 곳의 명상철학에 대해서 써놓으셨던데. 명상을 할때 전체적인 구조를 잡기에 좋은 책 같습니다.

다음 책에 있는 내용을 참고하여 썻습니다.
명상의 철학적 기초 - 한자경 -

반응형